[NLP스터디] NLP에 필요한 한국어 문법
형태소 형태소란 의미를 가지는 요소로서는 더 이상 분석할 수 없는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말하고 실직형태소와 형식형태소가 있음.(NLP할 때 기본) 실질 형태소(어근): 어휘적 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단위 자립 형태소(접사, 어미, 조사): 문법적 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단위 어근 어근이란 한자뜻 그대로 단어의 가장 근간이 되는 부분이고 9품사 중 조사를 제외한 명사, 대명사, 동사, 형용사, 부사, 감탄사, 수사, 관형사가 있음. 사랑한다에 '사랑', 어른답다에 '어른'이 어근 -> 실질적인 의미를 담당하는 실질형태소 접사 어기 또는 어근에 첨가되어 새로운 의미나 문법기능을 나타내는 형태소로 접두사와 접미사가 있음(파생어를 만드는) 맨손의 맨이 접두사, 선생님의 님이 접미사..
2024. 1. 20.